선생은 있는가?
요즘 태권도계에서 들리는 소문을 들어보면 또 다른 국기원이 생겨서 기존에 국기원과 혼동을 일으키고 있다고 합니다. 나는 예전에 김운용 태권도총재가 횡령으로 고발되었다는 기사를 보았을 때 곧 태권도에 이상기류가 올 것 같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습니다. 그것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어느 분이 요즘은 합기도장과 태권도장을 구분하기 힘들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간판만 다를 뿐 수련내용이 발차기에 호신술에 검술에 쌍절곤까지 가르치는 곳이 많아서 태권도장과 합기도장을 구분하기 어렵다는 말을 합니다. 왜 이렇게 되었습니까?
지금 한국에 관장님들은 팔방미인을 꿈꾸고 있는 것 같습니다. 모든 것을 다 잘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태권도, 합기도, 검도, 격투기, 하물며 유도기술인 그레이시 유술까지 모든 것을 섭렵하려고 하는 가 봅니다. 그것이 과연 옳은 것입니까? 싸움 잘하려는 어린 학생들이야 이곳저곳을 다니며 배우는 것이 무슨 상관이 있겠습니까만은 지도자의 행동으로는 한 분야의 전문인으로서는 이미 자격미달입니다. 왜냐하면 수준높은 깐깐한 선생을 모시는 학생의 행동이 아니며, 자격도 의심스러운 곳을 이 도장 저 도장 �아 다니며 굽신거리는 모습이 동냥하는 걸인의 모습과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옛날부터 일본사람들은 팔방미인을 수치스럽게 생각하였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팔방미인을 자랑스럽게 생각 하고 있는 것이 다릅니다. 여기저기를 다녀본 사람들은 잘하는 것이 많아 보입니다. 그런데 정녕 잘하는 것이 없습니다.
어떤 사람은 태권도, 합기도, 검도, 또 다른 것 까지 협회를 만들어서 운영하는 것을 보고 있는데 그 사람은 무엇이 전문인지를 모르겠습니다. 코메디에서 보는 것처럼 까~짓거! 대충 하면 되는 것이지~!, 안 되는게 어딧니~!, 하는 것처럼 협회를 만들고 있다면 진정한 가르침은 없는 것입니다. 즉 선생으로서의 자격은 이미 포기했다는 것이나 다름없으며 여러 가지 물건 모아놓고 ‘이것도 좋고, 저것도 좋아요!’ 라며 상품을 팔고 있는 장사꾼의 상술을 가르친 것 밖에는 없는 것입니다. 그 사람에게는 태권도, 합기도, 검도가 모두 상품입니다.
이러한 것은 선생이 없기 때문에 벌어지는 현상입니다. 학생이 무엇인가에 빠져서 잘 못된 길을 가고 있을 때 그것을 정확히 지적해 줄 수 있는 선생이 없기 때문입니다. 기술적으로, 혹은 정신적으로, 아니면 선생의 삶에 감각을 정확하게 가르쳐 줄 수 있는 선생이 없기 때문에 장사꾼의 시각으로 혹은 사기꾼처럼 잘난 말솜씨로 무술세상을 지배하려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단(段)위를 올리기 위해서는 추천하는 선생이 있어야 합니다. 수련하는 학생들은 관장이 추천합니다. 그런데 관장은 누가 추천합니까? 지금 우리나라 무술협회의 구조로는 7단, 혹은 8단을 올리는데 관장 스스로 협회에 신청하면 단증이 나오고 있습니다. 자기 스스로 단위를 결정하기 때문에 선생이 필요 없는 것입니다. 무술에는 일반 육상과 같은 기록경기와는 다르게 기술적으로 혹은 정신적으로 감각적으로 가르침을 줄 수 있는 선생이 꼭 있어야 하며 그 선생으로부터 자신의 무술에 대한 믿음이 생겨야만 신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