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
    좋은세상 2007. 4. 4. 20:34
        우리가 비탄에 빠진 사람에게 공감을 느끼면 그만큼 자신의 비탄을 경감시키는 결과가 되므로 그만큼 우리는 더 이기적인 것입니다. 무엇인가 혹은 누군가를 평가절하 하는 것은 그만큼 자신을 올리려는 이기적인 마음이 밑바탕에 깔려있는 것입니다. 상대를 높이는 것도 자신의 이기심을 채우는 것입니다. 사실 진정한 이타주의는 무감각하고 감정적 동요가 전혀 없는 신념을 갖고 덕을 베푸는 사람만이 진정한 이타주의자라 할 수 있습니다.


      인간의 정신에는 좋은 사회를 추구하는 본능과 좋은 사람이라는 평판을 얻고자 하는 본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선악설과 성선설을 펼치지 않더라도 인간은 무엇인가에 대해 완전하지는 않더라도 적어도 개선의 가능성은 가지고 있다고 봅니다.


      인간의 탐욕은 건전한 것이고 탐욕에는 아무 문제가 없기 때문에 그런 자신에 대해서 언짢게 느낄 필요가 전혀 없다고 말하는 학자들이 있습니다. 마거릿 대처는 사회 같은 것은 없다. 하나하나의 남자와 여자가 있으며 그리고 가족이 있을 뿐이다고 말했다가 파문을 일으킨 적이 있습니다.


      그녀가 지적하고자 하는 핵심은 인간의 근본적인 기회주의성을 인식하지 못하면 정부가 대의만을 추구하는 성인들이 아니라 이기적인 인간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정부란 자신들을 제외한 나머지 국민들의 희생 위에 자신들의 권력과 보수를 늘리기 위해 예산을 확대하는 관료들과 이익 집단의 도구라고 보는 것으로, 정부는 사회적 이익을 제공하는 공평무사한 기구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녀의 말은 이상적인 정부를 비판한 것이 아니라, 정부라는 것이 태어날 때부터 갖고 있는 부패를 비판한 것이었습니다. 우후죽순 생겨나는 협회도 여기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습니다.


     과학은 우리에게 유토피아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가르쳐주고 있고, 사회라는 것은 우리스스로 직접 설계된 것이 아니라, 서로 상충하는 야심을 갖고 있는 개체들 간의 불편한 타협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인간이 선천적으로 사리추구를 동기로 행동한다고 선언한다면 , 바로 그 선언으로 인해서 사람들은 더 이기적으로 된 다는 것입니다. 사리추구가  인간의 본성이라고 가르치면 실제로 그렇게 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는 것입니다. 달리 말하면 인간이 비열하다고 말해서 안 되는 까닭이 있는데 그것은 그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지금에 와서 학자들의 이 같은 권고는 사회 공동체 의식 붕괴에 책임이 있다는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인간의 좀 더 좋은 다른 천성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탐욕적이고 이기적인 것을 부르짖은 후 서구사회는 더욱 비도덕적이고 이기적인 개인주의로 치닫게 된 것입니다. 이러한 설명은 점증하는 범죄와 사회 불안에 대한 표준적이면서 좌익적인 경향의 현상을 설명하고 있는 것입니다.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우리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인간에게는 사리 추구를 향해 치닫는 천성이 있다는 사실을 드러내지 않거나 가능하다면 우리 내면에 고상한 성품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입니다.

    '좋은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도한군의 결혼을 축하하며  (0) 2007.12.09
    소음을 없애는 바닥 매트설치 방법  (0) 2007.10.14
    和樂  (0) 2007.02.27
    절제하자!  (0) 2006.11.08
    일요일 아침에 있었던 일들  (0) 2006.11.06
Designed by Tistory.